'영업레버리지'에 해당되는 글 1건

  1. 2009.07.16 레버리지(leverage)에 대한 이해
레버리지(leverage)는 지렛대라는 사전적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딱, 단어 느낌이 뭔가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 같은 냄새가 나지 않나요?

 네이버 백과사전씨는, 레버리지에 대해 이렇게 말해주고 있습니다.
 차입금, 사채 등의 고정적 지출과 기계, 설비 등의 고정비용이 기업경영에서 지렛대(lever)와 같은 중심적 자용을 하는 일.

 무튼,ㅎㅎ
 레버리지에는 1)고정자산의 사용으로 인한 고정영업비용과 2)타인자본을 사용함으로써 발생하는 고정재무비용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고정영업비의 부담으로 인해 매출액이 변동할 때, 영업이익이 더 큰 폭으로 변동하는 현상을 영업레버리지효과라고 하며, 고정재무비를 부담함으로써 영업이익이 변화할 때 주당순이익이 더 큰 폭으로 변화하는 현상을 재무레버리지효과라고 한다.

 1) 영업레버리지(Operating Leverage)

 고정자산(Fixed asset)을 보유함으로써 발생하는 고정영업비용을 부담하는 정도.
 
 ------ (기본 예시)
 ㅁ 매출액 10달러, 고정영업비 2달러, 변동비(variable cost) 3달러 = EBIT 5달러
 ㅁ 매출액 10달러, 고정영업비 3달러, 변동비(variable cost) 2달러 = EBIT 5달러
 ------ (case 1 : 매출 20% 증가)
 ㅁ 매출액 12달러, 고정영업비 2달러, 변동비 3.6달러 = EBIT 6.4달러
 ㅁ 매출액 12달러, 고정영업비 3달러, 변동비 2.4달러 = EBIT 6.6달러
 ------ (case 2 : 매출 20% 감소)
 ㅁ 매출액 8달러, 고정영업비 2달러, 변동비 2.4달러 = EBIT 3.6달러
 ㅁ 매출액 8달러, 고정영업비 3달러, 변동비 1.6달러 = EBIT 3.4달러
 
 이렇게 고정영업비에 해당하는 비중이 높아지면, 매출 변동에 따른 영업 이익 변동 폭이 커지게 된다는 점을 알 수 있습니다. 매출액과 변동비(variable cost)는 함께 움직이지만 고정비는 그대로 유지되기 때문에, 고정비가 큰 포션을 차지하면 당연히 그렇게 됨을 이해하실 수 있겠죠?

 2) DOL : Degree of Operating Leverage

 DOL = (영업이익의 변화율/판매량의 변화율) = {d(EBIT)/EBIT} / {d(Q)/Q}
         = {[d(Q(p-v)]/[Q(p-v)-F]} / [d(Q)/Q] = Q(p-v) / [Q(p-v)-F]
         = CM/EBIT (CM : 공헌이익, 매출액-변동비)

 p는 price, v는 variable cost, F는 fixed cost, Q는 판매량(매출액)을 의미합니다.
 d(delta)는 분모, 분자에 공통으로 존재하는 변수로 Q에 대한 변화량을 표현하기 때문에 약분.

 3) 재무레버리지(Financial Leverage), DFL = Degree of Financial Leverage

 기업이 조달하는 자금 중, 타인자본(부채)가 차지하는 비중을 의미.

 부채가 높으면, EBIT에서 빠지게 되는 이자비용(Interest)가 높다. interest rate는 일정하나, 절대적 부채규모가 크기 때문에 당연히 지불해야하는 이자비용은 커지게 된다. 이게 매출액이 줄어들면 심각한 문제가 될 수 있다.
 하지만, 매출액이 상승할 경우에는 주당순이익이 상승하게 된다. Stock은 equity에 포함되므로, equity 비중이 작고 같은 EBIT을 얻을 수 있다면 EPS(Earnings per share)는 레버리지가 큰 쪽이 높게 되겠다. 또한, 레버리지가 큰 쪽이 변화율이 크다.

 DFL = 주당순이익의 변화율/영업이익의 변화율 = [d(EPS)/EPS] / [d(EBIT)/EBIT]
 ------ EPS term에 대한 계산과정 1)       
        = {[d(EBIT)*(1-t)]/ N} / [(EBIT-I)*(1-t)/N] = d(EBIT) / (EBIT-I)
 ------ EPS 계산결과를 DFL에 대입하기 2)
        = [d(EBIT)/(EBIT-I)] / [d(EBIT)/EBIT] = EBIT/(EBIT-I)
        = Q(p-v)-F / Q(p-v)-F-I
 
 EPS term 계산과정에서 d(EPS) term에서는 Interest에 대해 생각 하지 않아도 됩니다. 부채는 일정하기 때문에, 이자비용도 일정하게 됩니다.(fixed interest rate), 그렇게 하여 계산 결과를 정리하면 EBIT에서 EBIT에 이자비용을 뺀 값을 나누면 DFL 값이 나오게 됩니다. 부채에 대한 포션이 클수록, I의 값이 커지게 되고 그럼 DFL 값은 커지게 됩니다.

Posted by 힐라리오
,